오픈소스 활동을 바라보며

머리아픈 이야기 2007/11/16 02:17 by daybreaker

왜 저는 여기에 글을 쓰면 거의 항상 심각한 글만 쓰게 되는 걸까요.. -_-;;
각설하고 오늘도 이야기 하나 풀어볼까 합니다.

얼마 전 제가 있는 동아리인 SPARCS에서 워크샵이 있었습니다. 그때 제가 발표한 주제가 "학생으로서 오픈소스 활동에 참여하기"였지요. 워낙에 벼락치기로 준비했던 발표라서 원했던 수준의 퀄리티는 나오지 못했지만 다행히 발표에 대한 평가는 좋았던 것 같습니다.

그 발표에서 중점을 두어 이야기한 내용 중에 '오픈소스 참여자들은 굉장한 신뢰 기반의 커뮤니티를 이룬다'는 것이 있습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얼굴도 모른 채 이뤄지는 온라인 상의 만남으로 시작하여 공통의 관심사와 필요성에 의해 엮어지는 대개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생각해보면 다른 참여자들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권한을 부여하는 것은 그 사람이 이상한 짓을 하지 않을 것이다(-_-)라는 믿음이 있어야만 가능합니다.

발표할 때 지난 봄학기 때 들었던 소프트웨어공학개론 수업의 내용이 실제 오픈소스 활동에서는 도움이 별로 되지 않은 것 같다는 것을 언급했었는데 끝나고 나서 당시 조교를 했던 한 선배분과 술자리에서 얘기를 했습니다.

그  선배의 말을 들어보니 오픈소스 커뮤니티는 소프트웨어공학 쪽에서도 꽤 관심있게 바라보고 있는 것 중에 하나라고 하더군요. 그말인즉슨, 오픈소스 커뮤니티는 회사와 같은 조직에서 이루어지는 개발 활동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었습니다. 밥벌어 먹고 살려고 하는 활동이 아니라는 점, 따라서 강제력이 거의 없다는 점, 스스로 재미있어서 말리는(!) 일이라는 점이 기존 소프트웨어공학에서 깔고 있는 가정으로는 설명이 안 되는 거지요.

당장 니들웍스만 보더라도, '코드로 대화가 가능하다' 수준에 도달해버렸으니 문서화가 의미 없게 됩니다. -_-; 물론 사용자들을 위한 매뉴얼 작성이나, 신규 멤버의 유입을 위해 어느 정도의 문서화가 필요하고, 그것을 위해 현재 graphittie님이 열심히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시지요.; 뭐 꼭 그런 것뿐만 아니라 SE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방법론들이 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는 다소 다르게 적용되는 부분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한편, 신뢰에 기반한 커뮤니티가라는 점이 좋게 말하자면 그렇지만 나쁘게 말하자면 폐쇄적이라는 뜻도 됩니다. 일정 수준 이상의 신뢰를 얻어 핵심 멤버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많은 노력과 시간을 들여야 한다는 뜻이고 신규 개발자의 유입을 막는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경우는 그 자체로서 매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참여를 원하는 사람들이 계속 생겨나지만, 그 단계에 다다르기 전에 최초 개발자들이 개인 사정으로 바빠진다거나 하여 흐지부지되는 경우는 망하기 딱 좋은 조건이 되죠.

무엇이든 지나치면 안 되는 것 같습니다. 신뢰가 필요하긴 하지만 그것이 지나치면 폐쇄적으로 변할 수 있겠지요.

*

오픈소스를 보면서 IT 기술이 가져다 준 의식의 변화가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생전 얼굴도 모르는 사람들끼리 하나의 목표를 향해 일하면서 결과물을 낼 수 있다는 것은 인류 역사에 있어 정말 대단한 것이 아닐 수 없습니다. 물론 그래도 사람-_-인지라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오프라인 모임을 가지며 서로 끈끈한 유대 관계를 형성하게 되기는 합니다만 근본적으로 그러한 출발은 대개 온라인에서 이루어지지요. 그리고 그런 사람들 사이의 유대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예전엔 불가능했던 것이기도 하구요.

이제 막 인터넷이 대중화되기 시작한 지 10년이 지났습니다. 그 사이에 우리의 사고 방식에 몰아친 변화를 생각하면 가히 놀랄 만한 일입니다. 오픈소스를 비롯하여, 앞으로는 또 어떤 패러다임과 사상이 등장하게 될까요? 또한 그것을 받아들이고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변해야 할까요?
필자
author image
Daybreaker(아침놀)입니다. 현재 KAIST 전산학과에 재학 중이며 전산 외에도 물리, 음악, 건축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Needlworks 내에서는 각종 홈페이지 제작 및 서버 관리 등과 함께 Textcube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 http://daybreaker.info

2007/11/16 02:17 2007/11/16 02:17

트랙백 주소 : http://blog.needlworks.org/ko/trackback/2460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