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0'에 해당되는 글 2건
- 2008/10/13 시간의 흐름, 그리고 오픈소스 3
- 2008/10/08 실종아동찾기 캠페인 (findingNemo 프로젝트) 관련 서버 장애 및 오류 복구 안내 3
시간의 흐름, 그리고 오픈소스
따뜻한 이야기 2008/10/13 01:55최근 모종의 일(?) 때문에 우분투를 본격적으로 써야 할 일이 생겼습니다. 뭐, 그동안 데비안이나 우분투를 서버용으로 오랫동안 사용해왔기 때문에 새삼스런 일은 아니지만, 이번에는 데스크탑 운영체제로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실제 작업 환경을 구축하는 일이라 좀더 다른 의미가 있지요.
제가 데스크탑 버전을 마지막으로 써본 것이 우분투 6.x 시절입니다. 노트북에 멀티부팅으로 깔아서 잠깐 써봤던 정도이고, 아직 본격적으로 이용해야겠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었습니다. 절전 모드 동작이 불안하다든지, 당시만 해도 소리가 나오게 하기 위해 설치 후 잡다한 삽질을 해야 했다든지, 특히 설치 직후 한글 입력과 미려한 한글 글꼴 사용을 위해 이것저것 해야 할 일이 너무나 많았습니다. 관련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래도 한두 시간의 삽질로 해결할 수 있겠지만 전혀 경험이 없는 사람들이나 일반 사용자들의 경우엔 접근하기 어려웠고, 우분투를 주 운영체제로 사용한다는 건 일종의 모험 같은 것이었습니다.
시간이 흘러흘러 2년여가 지났습니다. 약 2년 전부터 듀얼코어급 데스크탑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학교에서 라이센스를 나눠준 Windows Vista를 써오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얼마 전 새 하드디스크를 구입하게 되었고, 그동안 가상머신에서 깨작깨작(...) 가지고 놀던 우분투를 멀티부팅으로 제대로 깔아볼 수 있었습니다.
우선 놀라운 것은 별다른 설정 없이, 설치 과정에서 한글 키보드 레이아웃을 선택한 것만으로 한영 전환이 기본으로 동작했다는 점입니다. 한글 윈도우를 쓴다면 지극히 당연한 일이지만, 리눅스에서는 아직까지 당연한 게 아니었습니다. 제가 할 일은 두벌식 대신 세벌식을 쓰도록 바꾸는 정도 뿐이었습니다. 글꼴 또한, 최근 배포되기 시작한 NHN의 나눔 시리즈나 아리따체 등 기본 은글꼴 시리즈 외에도 선택의 폭이 커져 보다 미려한 화면을 볼 수 있게 되었지요. (특히 나눔고딕의 경우 우분투에서 웹페이지 기본 글꼴로 아주 잘 어울립니다.)
이제 윈도보다 설치가 간단해진 것 같습니다. 웹브라우저, 오피스, 통합 메신저 등이 기본으로 깔려 있기 때문에 개발자처럼 특별한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설치 후 기본 UI 글꼴, 바탕화면 그림 등 몇 가지 손보는 것 외에는 별로 할 일이 없습니다. 다만, 오픈소스 운영체제의 특성상 처음부터 독점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mp3를 처음 재생할 때 코덱 설치 안내가 뜬다든지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도 한 번 더 클릭해서 활성화해줘야 하는 단점은 있지만 어차피 윈도우 깔고 나서도 칩셋 드라이버며 온갖 드라이버를 깔아야 하는 수고스러움을 생각한다면 오히려 더 간단합니다. 그래픽 드라이버 쪽에서 아직 독점소프트웨어에 의존해야 하는 부분은 있지만, ATI도 오픈소스 드라이버 발표를 확정했고(아직까지 ATI보다는 nVidia 쪽이 리눅스에서 쓰기 편합니다), nVidia의 리눅스 드라이버 지원도 잘 이루어지고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전혀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사실 아주 초창기 때는 리눅스의 그래픽 환경을 사용하기 위해 자기가 가진 모니터와 그래픽카드가 지원하는 수직·수평 주파수 값을 알고 있어야 했을 정도니 사용자들이 쓰기엔 요원해보이는 적도 있었습니다.
저는 놀랐습니다. 하나의 철학으로 시작한 오픈소스 운동이 수많은 사람들의 손을 거치며 리눅스를 탄생시키고 그것이 점점 발전하여 이제는 정말로 사용자 입장에서 쓸 만한 그 무엇이 되었다는 것에 말이죠. 물론 우분투 뒤에는 엄청난 재력가인 마크 셔틀워스의 든든한 후원이 있었기는 합니다만 기본적으로 오픈소스 철학 하에 만들어지고 있고 그의 지원이 없었어서 시간이 더 걸렸더라도 결국엔 이렇게 발전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아무튼, 이제 슈프림 커맨더와 같은 윈도우 전용 게임을 하거나 비주얼 스튜디오 개발을 하지 않는 이상 우분투를 메인으로 써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인터넷 뱅킹과 전자상거래를 이미 모든 웹브라우저에서 이용할 수 있는 유럽에서는 실제로 우분투를 메인 운영체제로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스웨덴 교환학생할 때 기숙사 같은 층 친구도 우분투를 데스크탑 운영체제로 사용하고 있었지요. (아, 한국의 IT 현실이 이럴 때 특히 안타깝습니다.) 자신의 용도에 맞추어, 굳이 상용 제품 없이도 컴퓨터 생활을 할 수 있는 세상을 리눅스와 우분투가 열어주었습니다.
상용 소프트웨어들도 그 나름대로의 장점이 있습니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따질 수 있는 창구가 존재한다는 점이 대표적이겠죠. 하지만 이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들도 상용 소프트웨어만큼의 기능·성능을 가지기 시작했고 그로 인해 기업들이 독과점할 수 있는 여지를 줄여버렸습니다. 따라서 오픈소스의 존재로 인해 상용 제품을 파는 기업들은 계속해서 부단히 노력해야 할 수밖에 없고, 이는 소비자 입장에서 보다 다양한 선택권을 주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니들웍스의 모토 또한 그러한 웹의 다양성 유지·확보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죠. 텍스트큐브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누구나 생소한 개념이었던 블로그를 비교적 손쉽게 설치하고 사용해볼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하였고, 이는 우분투와 같이 독점 서비스들에 대한 훌륭안 대안재가 되었습니다. 한편으로는 그만큼 더 분발해야겠다는 책임감도 생깁니다.
저는 가끔 생각합니다. 단순히 지식정보화시대라는 낱말로 표현되지 않는 오픈소스가 세상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어떻게 변화시키게 될지에 대해 후대의 역사학자들이 어떻게 평가할지 말이죠. 인류가 수백, 수천년 후에도 계속 번영한다면 아마도 굉장히 특이한, 굉장히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상 갑자기 쓸데없는 감상(...)에 젖어본 우분투 사용자(...)였습니다;;;
ps. 여기서 '독점'이란 단어는 단순히 시장을 장악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폐쇄적인 라이선스·약관을 가진 경우도 포함합니다.
실종아동찾기 캠페인 (findingNemo 프로젝트) 관련 서버 장애 및 오류 복구 안내
머리아픈 이야기 2008/10/08 17:37실종아동 찾기 캠페인 프로젝트 및 플러그인 동작 오류에 대한 안내를 드립니다.
10월 1일부터 TNF/Needlworks 의 메인 서버인 TNF1에 오류가 생겨 이후 서버 이전 및 복구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그 과정에서 실종 아동 찾기 플러그인 파일의 마지막 백업일이 2008년 2월이라 당시의 파일을 복원하며 임시파일인 RSS 캐시 데이터가 10월 8일 새벽 4시경부터 오전 10시 30분까지 노출되었습니다. 이로 인하여 과거의 정보가 출력되는 문제와 함께, 해당 데이터를 12시간 단위로 캐싱해서 사용하는 티스토리의 플러그인도 과거 정보를 보여주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현재는 서버 복구 작업및 과거 캐시 파일들에 대한 삭제 작업이 이루어진 상태입니다.
이번 데이터 장애는 서버 복구 과정에서 과거 파일을 사용하면서 해당 서비스와 같이 백업 되었던 임시파일이 출력된 경우이므로, 실종 아동의 데이터 보관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음을 알려 드립니다. 또한 TNF/니들웍스의 서버 복구 과정에서 일어난 사고이므로, 캠페인에 관련해서 도움을 주시는 어린이 재단과는 관련이 없음도 함께 알려 드립니다.
예상치 않은 긴급 복구 작업으로 인하여 과거의 임시 저장 데이터가 출력된 부분에 대하여 관계자 분들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또한 관련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움을 주신 어린이 재단 및 다음 커뮤니케이션 측에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비밀방문자 2014
inureyes 2014
비밀방문자 2013
화사함 2012
LonnieNa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