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rit 이라는 말은 영혼 또는 정신이라는 말로 쓰입니다.[footnote]기독교에서는 "성령"을 나타낼때도 쓰이지요.[/footnote] 우리가 어렸을 때부터 "정신차려!"라는 말을 할 때면, 뭔가 일관되지 않은 상태에 빠졌을 때, 지적해주려고 하는 말로 익혀왔습니다.
영혼, 정신, 얼 등은 어떤 조직, 공동체의 특성을 유지시켜주는 하나의 무형의 척추뼈 구실을 하는 것이라고나 할까요?
우리 니들웍스는 어떤 spirit이 있을까요? 아니, 오픈소스 공동체는 어떤 spirit 이 있어야 유지될까요? 곰곰히 생각해보니, 돈을 주는 곳이 아닌 이 곳에서는 "열정"이 그 자리에 있습니다. 또 하나를 들라고 한다면, "방향성"이 그 바로 옆에 있습니다.
방향성에 동의한다고 해서 오픈소스 공동체에 있을 수는 없고, 열정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또, 열정이 있다고 해서 항상 그 공동체에 있을 수는 없습니다. 식지 않는 열정으로 만들어주는 것이 그 방향성의 교환이기 때문이지요. (공유라는 정적인 말 대신 교환이라는 동적인 말을 썼습니다)
여기까지 말하면, 오픈소스 공동체는 굉장히 돈 없이도 잘 뭉칠 수 있는 사람들이라고 생각될 것 같습니다. 그 안에는 아무 알력도, 술수나 기만도, 정보의 단절도 없을 것 같아 보입니다. 그러나 이상에 닿아 있는 공동체는 없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입니다. 왠만큼 속내가 비치고 서로서로 괜찮은 사람들이라는 의견이 모아질 때, 공동체가 시작될 뿐, 모두 힘든 상황 속에서 시간내서 하는 사람들이고, 각자의 사정은 너무도 위태합니다.
따라서, 우리에게는 항상, "정신차려!"가 필요한 조직임을 잊지 말아야합니다. 우린 같은 공간에 있지도, 같은 나이에 있지도, 같은 직업에 있지도 않고, 완벽한 인격도 아닌 사람들이 Textcube하나 가지고 온라인으로 닿아 있는 것이니까요.
안녕하신가요. graphittie입니다. 유럽여행 다녀왔습니다... 라는 건 거짓말이고... 오래간만에 글 하나를 남겨볼까요.
아마 우리나라가 부족한 여러가지 자질 중, 핵심 자질 중 하나가 토론에 임하는 자세가 아닐까 합니다. 건전한 토론이 가능하다는 것은 여러가지 의미를 내포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상대방에 대한 태도, 논리적 사고력, 대화가 열린 사회 등등... 사실 더 따지고 보면 더 핵심적인 문제의 자질은 '남을 이겨라'라고 가르치는 우리의 교육문화인데, 이 부분은 오늘의 주제가 아니니 패스하고...
사회가 토론을 못하고 있다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상징적인(?) 예가 '개인적으로는' 이라는 말의 범람입니다. 상대방과 대화를 할 때 '개인적으로는' 이라는 말을 앞머리에 붙여주시면 그 말은 그 말을 듣고 있는 상대로부터 절대 태클을 받지 않는 절대위치를 가지게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렇다는데 뭐라고 하겠어요... 이 말에도 불구하고 용감하게 그 말에 대해 끼어들기를 시도하는 사람이 있다면, 발언자는 한 마디만 해주면 대화는 끝납니다. '개인적인 부분까지 뭐라고 하지 마시죠.'
토론 문화가 없다보니 서로 상대발언을 잡아먹을 듯 반론하게 되는 세태에서 비롯된 자기 보호의 수단 중 하나가 아닐까 짐작합니다만, 한편으로는 '개인적으로는' 이라는 구문을 사용하시는 분을 종종 만나뵙게 되면 안타깝기도 하고 불편하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서로 대화하는 중에 상대방의 발언에 대해 견해를 밝힐 수 없다면, 상대방의 말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없지 않겠습니까. 자기 할 말만 하면 되는 것이죠. '개인적으로는' 이라는 말만 붙이면 상대방의 피드백은 없을테니까요. 좀 독설적인 표현을 가하자면... '이기적인 대화법'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좀더 생각해보면, 아마도 '이것이 진짜 토론이다' 싶은 케이스를 경험한 적이 없어서[footnote]가르쳐주지 않으니 직접 경험하는 수밖에 없겠지요.[/footnote] 이런 토론 문화가 계속되고 있지 않은가 싶기도 합니다. '100분 토론' 같은 토론 프로가 있기는 하지만 이 프로에서 볼 수 있는 건 건전한 토론이 아니라, 조롱과 억지논리, 무례함 등이니... 이런 모습을 보며 토론 자체에 대해 염증을 느끼게 되는 부분도 많으리라고 봅니다. '100분 토론'에서 '토론이란 이런 것이다', '이것이 토론의 정수'이다 싶은 토론을 방영해 준다면 상황이 조금은 좋아지지 않을까요?
비밀방문자 2014
inureyes 2014
비밀방문자 2013
화사함 2012
LonnieNa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