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23'에 해당되는 글 4건
- 2007/05/23 사람의 차원 3
- 2007/05/23 아프리칸 바이올렛 소개 2
- 2007/05/23 책 읽기와 Textcube 3
- 2007/05/23 능률적인 작업관리 2
사람의 차원
머리아픈 이야기 2007/05/23 20:08요즘 제가 다니는 학교는 한창 축제 기간입니다. 아는 사람들을 통해 주점 초대(라 쓰고 강매라 읽는...)를 받고 있으나 이놈의 학교가 축제 기간에도 놀도록 놔두질 않아서 숙제하거나 자거나 혹은 기타 삽질(!)을 하느라 못 가고 있습니다.
그저께, 그러니까 월요일 밤 늦게 동아리 사람들과 함께 술을 마시러 나갔는데요, 거기서 한 후배가 그날따라 좀 달리더니 평상시 쌓였던 속내를 털어놓기 시작했습니다. 뭐 다들 즐거운 분위기에서 왁자지껄 떠드는데, 그 녀석이 하기 시작하는 말이 왈, "형하고 나는 dimension이 달라서 span할 수 있는 subspace가... (생략)" ...
갑자기 그 얘기를 듣고 나서 생각이 나서 써봅니다.
수학이나 과학, 공학 분야를 전공하지 않는 분들은 차원이라고 하면 보통 점이 1차원, 평면이 2차원, 입체가 3차원, 아인슈타인이 말하는 시공간 뭐시기 하는 게 4차원... 정도라고 알고 있을 겁니다. 그러나 실제로 차원의 개념은 매우 넓습니다. (아, 갑자기 물리학 전공하시는 교주님을 두고 이런 얘기를 하려니 쑥스럽군요.. orz)
차원(dimension)이라는 개념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성질이 바로 직교(orthogonality)입니다. 대수적으로 말하면 서로 다른 차원의 값은 상대방에게 상수를 곱해서 얻어질 수 없어야 한다고 볼 수 있죠. (여기서는 엄밀하게 말하지 않겠습니다. -_-) 하나의 차원에 속한 원소들은 다른 차원에 속한 원소들과 orthogonal하다고 표현합니다. 이런 개념을 vector부터 시작해서 여러 종류의 function들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예로 sin과 cos은 orthogonal합니다)
선형대수학에서는 어떤 임의의 n차원 공간(subspace)을 만들어낼 수 있는 최소한의 선형 독립(linearly independent)인 vector 집합을 basis라고 부르고, 이들이 그 subspace를 span한다고 표현합니다. 선형 독립이라는 것도 결국 orthogonal이라는 성질로부터 나오는 것이죠.
이렇게 넓은 의미로 차원을 정의하면, 우리가 3차원에서 세 축이 항상 90도를 이룬다고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적절한 변환(transform) 하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게 되는 등 뭐 상당히 일반적인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아무튼 이런 차원 개념은 공학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로봇 제어를 모델링할 때 6자유도(degree of freedom), 즉 6차원 배열을 이용하기도 하죠. (보통 이것을 그대로 쓰기에는 복잡해서 적절한 constraint를 추가해 차원 수를 줄입니다.)
서론이 길었는데, 하고자 했던 얘기는 이제부터입니다.
아까 술자리에서 한 후배가 했다는 얘기 말입니다. 사람에게 있어서 차원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수학적이거나 물리적인 의미의 차원은 아닐 것입니다.
그러면 이제 사람의 차원에 대해 말해볼까 합니다.
제게는 오래 전부터 아버지가 말씀하시는 "주머니 이론"이 있습니다. 모름지기 사람은 자신의 가능성을 항상 열어두고 많은 것을 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것을 잘 할 수는 없어도, 가능한 많은 것을 받아들일 준비는 되어 있어야 한다는 뜻이죠. 이것은 부모님의 교육 철학에서도 잘 나타나, 제게 항상 주문하시는 것이 "스스로 자신의 가능성을 닫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인격적으로, 재능 측면에서 많은 주머니를 달고 다닐 수 있도록 하라는 비유를 하십니다.
이 말을 바꿔보면, 많은 차원을 가진 사람이 되라는 뜻으로 볼 수 있겠죠. 음, 제가 생각하기에, 둘이 붙여놓았을 때 완전 쌩뚱맞다고 생각되는 분야들을 잘 다룰 수 있다든가, 혹은 다른 분야에 대해서 적어도 개론 수준은 이해를 하고 있다든가 하면 그만큼 차원을 더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교주님의 경우는 물리학과 전산학을 복수전공하셨기 때문에 2개의 차원, 혹은 주머니를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죠. (물론 다른 측면의 것들도 많이 갖고 계시겠지만요.) 저 같은 경우는 전산학, 건축과 디자인, 피아노 연주 등이 각각 하나의 차원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햇병아리(?) 학부생이지만, 점점 학문 융합의 시기가 오고 있다는 것은 분명히 느껴집니다. 비단 학문 뿐만이 아니라, 대중 문화와 예술, 일상 생활의 많은 것들이 융합을 향해 나아가고 있고, 어쩌면 많은 기능들을 흡수하고 있는 컨버전스 기기인 휴대전화가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겠지요. 바야흐로 T자형 인간상이 요구되는 시대가 온 것입니다.
그런 면에서, 저는 자신이 가진 것들 중 어떤 것들이 서로 orthogonal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는 것, 그리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일 때 그것이 자신의 차원을 확장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능력이 점점 중요해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또, 기존에 자신이 가진 것들을 잘 조합해서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내고, 그것으로부터 자신의 가치를 창출하는 것도 필요할 것입니다.
후배 녀석의 한 마디 덕분에 간만에 여러가지 생각을 해볼 수 있었습니다. 이래서 사람에게 술이 필요한 걸까요? 아직 거기까지는 답하지 못하겠군요.;
아프리칸 바이올렛 소개
즐거운 이야기 2007/05/23 10:48정말 이 꽃을 보게 된다면, 이것이 조화일까? 정말 꽃일까 뜯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지도 모릅니다.
흔히 벨벳 감촉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 사실 전 벨벳은 잘 모릅니다만, 이 꽃 때문에 그러한가 보다라고 생각만하고 있습니다.
요놈은 조건만 잘 맞으면 일년 내내 꽃을 피울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조건이라는 것이 맞추기가 약간은 어렵더군요. 너무 더워도 안되고, 너무 햇빛에 보여도 안됩니다.
또, 특이한 것은 이 녀석은 두꺼운 잎이나 줄기에 수분을 많이 가지고 있어서 물을 자주 주면 뿌리가 썩기 쉽습니다.
또, 물을 줄때는 잎에 닿지 않게 화분 밑 물받침에 줘야 제격입니다. 따라서 흙도 물을 잘 흡수하는 것을 사용해야하고, 되도록 높지 않은 화분에 키우는 것이 물을 화분 아래로 줄 수 있습니다.
이놈이 또 신기한 것은 잎이 무성하게 되면 잎을 따다가 잎자루 부분만 물에 닿도록 접시 가장자리에 두고 한 2주쯤지나면 뿌리가 내린다는 것입니다. 엄청난 번식을 할 수 있는 잎꽂이 식물이지요.
뿌리가 나고 흙에 제대로 심어두면, 한달정도 있다가 귀여운 새 잎이 올라옵니다.
너무 코딩이나 웹 서비스 기획에만 머리 아프게 살지 마시고 이런 것에도 관심을 가지면서 사시면 어떨까요?
이상 썰렁한 엔지니어였습니다.[footnote]우리 사이트에 맞는 글이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습니다.[/footnote]
책 읽기와 Textcube
따뜻한 이야기 2007/05/23 02:27저는 이상하게도 성격상 남한테 배우는 것을 하지 못합니다. 대학생 시절에도 이것 때문에 고생을 많이 했지요. 강의 역시 남한테 배우는 것이기 때문에 제 머리 속에 강의내용이 제대로 자리잡기는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수강할 과목을 한 학기 전에 정해두고 한 학기 동안 해당 과목에 대해 공부한 후 강의시간에 공부한 내용을 복습하는, 희안한 대학수강패턴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 때는 단순히 '나는 혼자 공부하는 타입인가 보다'라고 생각하고 말았지만, 지금 되새겨 보면 배움의 적극적 행위를 즐기는 성향이 원인이었던 것 같습니다.
같은 내용을 공부하더라도 TV 강의나 인터넷 강의는 집중력이 떨어지는데 반해 독서와 사고에 의한 학습은 스스로 즐기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효과가 좋았습니다. 아마도 이것은 TV와 인터넷 강의의 수동적 성격 때문이라고 생각되는데, 이 미디어들은 그저 쳐다보고만 있으면 머리 속에 정보를 구겨 넣어주는 피동적 학습을 제공한다는 공통적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에 비하여 독서는, 책을 고르는 행위와 책장을 넘기는 행위, 눈동자를 움직이는 행위 등 여러가지 복합적인 적극적 행동들이 모여 학습을 이루기 때문에 배움의 적극적 행위를 즐기는 저의 생활에서 독서는 언제나 핵심적인 미디어 역할을 해왔습니다[footnote]교주님 정도는 아니지만요.[/footnote]. 아마도 이런 이유 때문에 책이 사랑받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책이 책장에 하나씩 늘어가는 것을 보는 재미도 빼놓을 수 없겠군요.
현대는 문명의 이기(利機)가 너무 많아 오히려 사람들 피동적으로 만든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편리하다는 것은 '쉽다'는 말로 이어지고, '쉽다'는 말은 '간단하다', '노력 없이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문맥으로 통하게 되기 때문에 결국 손가락 하나 까딱하면 문명의 이기들이 알아서 정보를 떠먹여주는 정보습득의 유아 상태가 필연적으로 만연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역시 서비스업체의 기본 마인드가 '사용자의 편의'에 촛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좋은 서비스는 '사용자를 피동적으로 만든다'고 하는 위험한 공식으로 연결되게 됩니다. 특정 서비스에 종속되지 않는 설치형 블로그가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은 이와 같은 맥락으로도 해석이 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TNF의 활동에 참여하면서 하고 싶은 것 중 하나가 제가 책을 읽을 때 느끼는 능동적 행위의 즐거움을 Textcube 사용자들에게도 느끼도록 하는 것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글을 쓰고 싶게 하는 툴을 만들자'고 할 수 있을까요. 제가 책을 읽으면서 적극적 행위를 즐기는 것처럼, 사용자 분들도 Textcube로 글을 남기면서 글을 쓰는데 필요한 행위들을 즐길 수 있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언젠가 'Textcube로 글을 쓰면 즐거워진다'라는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지요.
능률적인 작업관리
머리아픈 이야기 2007/05/23 00:31몇 년 전 한 중소기업의 CEO이시며 모 대학 교수님이신 지인께서 내게 이렇게 물으신 적이 있습니다.
"자네는 작업 관리를 어떻게 하고 있나?" 라고...
"아, 네 저는 그때그때 마다 처리를 합니다." 라고, 대답 후, 헤어질 때까지 그분께 많은 질책을 받았던 적이 있습니다.
업
무처리에 대한 패턴은 각자의 스타일에 따라 다르겠지만, 어느 정도는 일률적인 체계가 잡혀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앞으로 해야 할
일, 하고 있는 일, 했던 일, 앞으로의 계획 등이 세워져 있어야 하고, 그 어떤 콜이 들어오더라도 대응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해놔야 합니다. 물론 이와 같은 처리 방식은 거의 갖추고 있으리라 것이라 생각하지만 그렇지 못한, 그렇게 하지 않는
사람도 있을 수도 있습니다.
주로 일을 하던 분야가 대부분 개발 분야였고, 영업, 서비스 등의 일도 중간 중간
했었지만, 모든 분야에 대해서는 그 스타일에 맞는 작업 관리가 꼭 필요로 했던 것 같습니다. 영업과 서비스에서는 고객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체계가 있어야 했고, 개발에서는 개발하는 각 단계에 따른 관리체계가 필요 했습니다. 특히 개발 관련에서는 각 파트별
개발단계에 대해서 각자의 단계에 대해 상호 소통이 잘 이뤄져야 한다고 봅니다. 한쪽에서는 열 가지 처리하는 동안 다른 쪽에서는
다섯만 처리하고, 공통 관리를 하고자 하는 부분에서도 마무리가 잘 안되었다고 한다면, 개발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에 착오가 생길
것입니다.
현재 전 작업관리를 별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관리합니다. 전엔 프랭클린 플래너 다이어리로 관리를 하다가 들고 다니기 무거워서? 요즘은 Win Organizer
이라는 PIM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각 작업 처리 건에 대해 확인하기도 쉽고, 진행사항이나 여러 가지 체크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 좋고, 기타 등등 PIM프로그램 답게 유용합니다. 반드시 항상 체크해야 할 것들은 Miranda-IM의 알람 플러그인으로
대체하여 시시각각 체크합니다. 구글의 개인화 페이지에 있는 TODO LIST항목도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어떤 직종의 작업이든 관리한다는 것이 어쩌면 귀찮니즘이 발동 할 때가 많습니다. 허나, 자신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투자라 생각하고, 게을리하지 않는다면, 보다 효율적인 삶을 느리지 않을까 합니다.
비밀방문자 2014
inureyes 2014
비밀방문자 2013
화사함 2012
LonnieNa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