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큐브 접근제어 (ACL)
머리아픈 이야기 2007/06/06 00:10머리아픈 얘기입니다만, 텍스트큐브(구 태터툴즈)는 다음과 같은 종류의 접근하는 세력이 있습니다. 자격이라 말할 수 있겠지요.
- 블로그 관리자
- 글 쓸 수 있는 사람
- 손님
- 글
- 댓글
- 블로그 설정
태터툴즈의 공식적인 코드에는 다중 사용자에 대한 지원이 있습니다. 이것은 팀블로깅과는 다릅니다.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둘 이상이 각자의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입니다. 티스토리도 어찌보면, 다중 사용자 모델로 운영되는 태터툴즈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제 새로이 나올 1.5에서는 팀블로깅이 지원되는데, 따로 운영되는 블로그 여럿이 아닌, 하나의 블로그에 대한 글쓰기, 자기글에 대한 수정/삭제 기능이 지원됩니다. 게다가 오픈아이디를 통해서 접근하는 세력도 비슷한 범주에 넣어 구별할 수 있게 됩니다.
예상되는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군요.
철수는 "멋진 블로그"에 글쓰기 권한을 가진 블로거입니다. 자신의 ID로 로그인을 하여 글을 쓰고 공개하였습니다. 그리고, 영희가 그 글에 댓글을 남겼습니다. 아차 싶어 댓글을 수정합니다.이런 기본적인 동작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접근권한이 동작합니다.
- 철수는 멋진 블로그에 접근하여 "손님"이란 자격을 얻습니다.
- 철수는 로그인하면서 "글을 쓸 수 있는 사람" 이란 자격을 얻게 됩니다.
- 철수는 글 쓰기 메뉴를 선택합니다.
- 철수는 글을 쓰고 저장후 공개하기를 선택합니다.
- 영희는 멋진 블로그에 접근하여 기본적인 "손님"이란 자격을 얻게 됩니다.
- 영희는 글을 읽고 댓글을 씁니다.
- 영희는 자신이 쓴 글을 수정합니다.
비밀방문자 2014
inureyes 2014
비밀방문자 2013
화사함 2012
LonnieNa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