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사춘기'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07/07/03 나 자신 되찾기 2
  2. 2007/06/22 지적 사춘기 10

나 자신 되찾기

머리아픈 이야기 2007/07/03 22:37 by daybreaker

초등학교 1학년 때, 빨간 유리색연필 하나를 준비하지 못한 것 때문에 담임 선생님이 회초리를 든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저는 모든 반 아이들과 선생님이 보는 앞에서 외쳤습니다. 이것은 내가 잘못한 것에 비해 부당한 처벌이라고.

중학교 2학년 때, 국어시간에 문법을 배우는 단원에서, 문법 규칙마다 항상 예외가 보이길래 매 시간 선생님께 수많은 질문을 퍼부었습니다. 그러자 주변 아이들은 진도 안 나간다며 잘난 척하지 말라고 절 비난했습니다. 국어 선생님은 절 인정해주시면서도, '교만'을 항상 조심해야 한다고 말해주셨습니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거치면서 저는 항상 자만하지 않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설령 제가 아는 것일지라도 그것을 항상 다 표현하지 않았지요.

물론 자만하지 않아야 된다는 것, 교만을 떨지 말아야 한다는 것 자체는 지금도 지키고자 하는 신조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요즘은 이런 생각도 듭니다. 나 자신을 잃어버린 것이 아닌가 하는. 자만과 교만의 기준이 바뀌어야 할 때가 왔습니다. 아직도 모르는 것이 너무나 많지만, 앞으로 만들어갈 가치관에 대해서는 분명한 의사를 표현할 줄 알아야 할 겁니다.

저는 제가 살고 있는 이 한국 사회에 과연 '나'라는 존재가 있는지 묻고 싶습니다.
공교육에서 요구하는 뭐든지 다 잘해야 하는 전인적인 인간상, 조직과 회사를 개인보다 더 중시하는 문화에서 비롯된 열악한 근무 환경과 노동 조건, 너도 나도 필요하지 않은 사람들까지 학원으로 내몰고 있는 영어/외국어 열풍, 옛날이나 지금이나 여전히 존재하는 선진국에 대한 사대적 태도.

'우리'라는 말은 정겹고 따뜻한 말이지만, 이것이 '나'를 상처받게 해서는 안 됩니다.
옳고 그름은 분명히 따져야 합니다. 권위와 지위에 복종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에게 복종해야 합니다.

그렇지만 한국 사회에서 이것을 지켜가기는 너무나 어렵습니다. 잘못하면 주변 사람들이 다 떠나갈 수도 있지요. 이 문제에 대해, 자신의 주관에 대해 자신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이해 수준을 가진 사람이 아니면 옆에 있기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지적 사춘기를 시작하면서, 가끔은 반항적인 모습이 나타나는 것도 용인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내 자신의 영역을 구축하기 시작하면 자연히 그 안으로 들어오려는 다른 사람들과 마찰이 생기게 마련입니다. 이것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기술을 기르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이제는 제 생각을 관철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어렸을 때 가지고 있던 고집을 다시 되살려 긍정적인 방향으로 활용해야겠습니다.

인 것은 인 것이고 아닌 것은 아닌 것이지요. 이것을 잘 구분하는 한국 사회가 되길 바랍니다. 어렸을 때부터 억눌려왔던 제 자신의 본성을 찾고, 이것을 사회화 과정의 긍정적인 산물로 활용하고 싶습니다.

ps. 저희 집에는 부득이한 사정 등으로 성당에 빠졌을 경우, 고해성사를 보기 전까지 성체를 모시지 않는 암묵적인(?) 룰이 있는데, 얼마 전부터 저는 그 룰을 깼습니다. 교리 상 그럴 이유도 없을 뿐더러 미사에 다른 사람들이 줄서서 나가는 것을 비켜주느라 신경쓰는 등의 일을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입니다.

필자
author image
Daybreaker(아침놀)입니다. 현재 KAIST 전산학과에 재학 중이며 전산 외에도 물리, 음악, 건축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Needlworks 내에서는 각종 홈페이지 제작 및 서버 관리 등과 함께 Textcube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 http://daybreaker.info

2007/07/03 22:37 2007/07/03 22:37

지적 사춘기

머리아픈 이야기 2007/06/22 04:32 by daybreaker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밤은 글이 잘 써지는 시간입니다. 때이른 초여름 더위가 지나고 습한 공기와 함께 장맛비가 찾아왔습니다. (생활리듬 shift된 걸 얼른 되돌려야 할 텐데 말이죠. orz)

요즘, 저는 제가 지적 사춘기에 빠진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자주 합니다. 신체적으로야 뭐 징그러울 만큼-_- 자랐으나, 내적으로는 어쩌면 방황의 시기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렸을 때 무심코 믿었던 종교, 또 무심코 흥미삼아 반신반의하며 봤던 각종 UFO 관련 책들, 과학고와 KAIST에 진학하면서 배운 많다면 방대하고 적다면 쥐뿔만큼 적은 과학 지식들, 초중고를 거치며 들었던 선생님들의 여러 말씀들, 부모님과의 심도 있는 대화, 친구들과의 대화. 피아노를 치면서 느끼는 희열, 내가 작곡한 곡과 내가 그린 그림들, 그것을 본 사람들의 다양한 반응들. 수많은 책과 블로그에서 흘러나온 문자들. 그리고 종교와 철학.

내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모든 순간과 경험이 갑자기 새롭게 느껴지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소프트웨어공학개론 때문에 지나치게 빡센 학기를 보내면서 심신이 피폐(?)해진 탓도 있을 것 같네요.

저는, 제 또래의 친구들이 대충 저와 같은 지식 수준을 갖추면 자신의 가치관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을 할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뭐 주변의 친구들은 대부분 저와 비슷한 경로의 삶을 살아온 사람들이기에 지식 수준이라는 것도 비슷할 거라고 생각했죠. 그런데 생각 외로 종교와 철학, 그리고 세상사를 바라보는 자신의 가치관에 대해 깊이있는 고민을 하지 않더라는 겁니다. 단지 하지 않는 것에 지나지 않고, 왜 하는지 관심도 없어보였습니다.

당장 응용미분방정식 기말고사 망해서 재수강이 사실상 확정이고 알고리즘 교수님이 꿈에 나올 정도로 시험 성적이 불안하지만, 저는 제가 현실에서 처한 모든 상황을 떠나 거시적으로, 혹은 미시적으로 사람이 사는 세상 그 자체에 대해 바라봅니다. 전에 올렸던 글에서 길가다가 꽃이 핀 걸 보고 왜 아름다움을 느끼지 못할까에 대해 썼던 것도 비슷한 맥락입니다. 제게 제가 감각으로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그 하나하나가 가치있는 것이고 또한 아름답기 때문이죠. (그래서인지 뇌가 쉬 피로해지는 것 같기도 합니다.)

이번학기에 들었던 전산학 세미나 수업에서 레이 커즈와일이 쓴 '특이점이 온다'라는 책을 추천해서 읽어보았습니다. 패턴주의자인 그는 기계가 초지능을 갖게 되고 인간을 능가하는 바로 그 순간을 특이점이라 부르면서, 인간만이 특별한 존재다라는 인식을 거부합니다. 중요한 것은 인간을 구성하는 물리적 신체, 혹은 생명 그 자체가 아니라, 자연계 속에서 정밀한 패턴을 이루고 있는 존재라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그 책을 읽으면서, 모태신앙으로서 갖고 있던 기독교(가톨릭)에 대해 품고 있던 회의와 의문이 더욱 많아졌습니다. 동물과 식물에게도 영혼이 있을까부터 시작해서, 과연 인간을 인간답다고 정의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신이 있다면 왜 신은 우리가 이런 고민을 할 수 있게 했고, '신의 영역'이라 불리는 것들을 과학기술을 이용해 할 수 있게 만들었는지 의문이 들기 시작한 것이죠. (지난 제2차 태터캠프 때 제 발표를 들으셨던 분들은 무슨 얘긴지 아실 겁니다. :)

저는 주변 사람들에게 물었습니다. 독실한 신자이신 부모님과도 얘기해보고, 또 독실한 기독교 신앙을 가진 친구와도 얘기해봤습니다. 따로 종교를 믿지 않는 친구하고도 얘기해보구요.
대체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은 특이점이 올 수 없다고 말합니다. 신이 막으실 거라고 얘기합니다. 환경 재앙이든 전세계적인 전쟁이든 뭐든 간에요. 종교나 신을 믿지 않는 사람들은 그런 고민을 할 필요가 없다고 말합니다. 그냥 자기 자신을 믿으면 되는 것이고, 때가 되면 알아서 살게 되겠지-라는 것 같습니다.
어떤 사람은 특이점이 올 가능성이 있다면, 그런 일이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다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그냥 지금처럼 인간은 인간 고유의 영역에 남아있는 것이 좋다는 것이죠.

나라는 존재가 다른 존재와 다르게 인식되는 그 근원은 어디에 있을까요? 의식이란 건 기본적으로 주관적 체험에 기초하기 때문에, 그 어떤 논리와 과학으로도 100% 객관화시킬 수 없습니다. 오로지 종교적 믿음이나 개인의 신념에 의해서만 가능하지요. 그렇다면 우리는 단지 정교하게 엮어진 분자 덩어리에 불과한 것일까요? 사람들이 말하는 사후세계, 정신세계라는 것은 특이점의 시대에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궁극적으로 저는 제가 알고 경험해본 다양한 신념체계를 통합하고 싶습니다. ('합리적'이라는 과학조차도 넓게 보면 하나의 신념체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 사이에 모순되는 점이 너무나 많아서, 지금은 이중생활을 하고 있죠. 심정적으로는 신을 믿지만, 이성적으로는 신을 믿지 않습니다. (혹은 거꾸로일지도 모릅니다. 자연의 정교함은 과학만으로 납득이 안 되는 부분이 있거든요. 이건 사람마다 다릅니다만.) 사실 그 신이라는 것도, 인격적 존재로서의 신인지, 범신론적 관점의 신인지에 따라 또 다르지요.

마치, 제가 가진 모순점들을 해결하지 않는다면, 그래도 제 삶은 계속되겠지만, 끝없는 좁은 터널을 지나는 기분일 겁니다. 전혀 다른 분야에서 얻은 경험과 지식들이 하나의 공통된 원리를 제게 보여줄 때 느끼는 그 희열을 느껴봤기에, 인류가 저에게 물려준 다양한 신념체계들을 어떤 식으로든 저 자신의 자아 내부에서 통합하는 일은 그만큼 가치가 있고, 또 제가 앞으로 크고 작은 다양한 선택과 판단을 하는 데 있어서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밑바탕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TNF 활동을 해오면서 inureyes님이 쏟아내시는 paper work과 각종 발표 등을 보면서, 또 개인적으로 나눈 여러 대화를 통해, 어떻게 해서 저런 넓은 시야와 직감을 가지고 계실까 사뭇 궁금했었습니다. 얼마 전에 메신저로 길게 이야기한 적이 있는데, 제 나이 무렵에 비슷한 고민을 안고 철학과 종교학, 예술학 쪽에 굉장히 심취하셨던 기간이 있으시더군요. 계절학기를 통해 서울 쪽의 대학 도서관들을 다니며 많은 책을 읽었다고 합니다.

그 얘기를 듣고, 그 놀라운 통찰력이 어디서 나오는지 알 것 같았습니다. 직접적으로 저나 다른 사람들에게 말로 설명해주시기는 어렵겠지만,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 판단하는 가치 기준을 만든 것이죠. 저는 바로 그 과정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인터넷의 발달은 인류가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은 정보를 생산하고 접할 수 있도록 해주었지만, 그 중에서 자신에게 의미 있는 것을 골라내는 것은 그만큼 더 어려워졌습니다. 그러나 그만큼 가치 있는 정보가 지닌 잠재력은 더욱 올라갑니다. 저는 전산학을 배우면서 그러한 정보를 다룰 수 있는 기술적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 자신을 더 높이 승화시키려면 그 이상의 무언가가 필요하지요. 그것을 위해 일종의 지적 사춘기를 시작했습니다. 어쩌면 죽을 때까지 결론이 나지 않을 기나긴 여정일 수도 있겠습니다.

필자
author image
Daybreaker(아침놀)입니다. 현재 KAIST 전산학과에 재학 중이며 전산 외에도 물리, 음악, 건축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Needlworks 내에서는 각종 홈페이지 제작 및 서버 관리 등과 함께 Textcube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 http://daybreaker.info

2007/06/22 04:32 2007/06/22 0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