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환학생'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8/03/01 스웨덴어 배우기 3

스웨덴어 배우기

즐거운 이야기 2008/03/01 23:03 by daybreaker

요즘 이 블로그에 글이 뜸하군요.;

전에도 말씀드렸다시피 저는 현재 스웨덴에서 KTH(Kungliga Tekniska Högskolan;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교환학생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스웨덴어 강의를 신청할 예정이었으나 몇 가지 혼선이 빚어지는 바람에 결국 못 듣게 되었네요. 다행히 인터넷으로 찾아보니 한글로 스웨덴어 소개를 해놓은 곳들이 몇 군데 있어서 기본적인 문법 공부도 하고 이 언어가 대체 어떻게 생겨먹은 언어인지는 감을 잡고 있습니다.

아무튼, 이 포스팅에서는 스웨덴에 와서 살면서 별도의 교육 없이 자연적으로 습득하게 되는 생활 필수 용어(?)들을 재미삼아 정리해볼까 합니다.

스웨덴어는 영어의 알파벳 외에 3가지의 모음 철자를 더 사용합니다. ä는 한글의 'ㅐ'와 거의 비슷하고, ö는 'ㅓ'와 비슷합니다. å의 경우 'ㅗ'와 'ㅓ'의 중간쯤 되는 발음을 가지는 것 같(?)습니다.;

hej
영어의 'hey'와 발음은 같지만 여기선 hi, hello의 뜻으로 사용됩니다. 보통 재빠르게 두 번 반복합니다. 약간 목소리를 높인다는 느낌으로 '헤이헤이'..
hejdår
good bye에 해당하는 인사말. 하지만 hej로만 사용하기도 합니다.
tack
thank의 뜻. '탁' 혹은 '탁키'와 같은 식으로 thank you를 표현합니다.
förlåt
sorry의 뜻. I'm sorry를 이 단어로 표현합니다.
tågtrain, 기차를 가리키는 용도로 쓰입니다. commuter train(통근 열차)는 pendeltåg라고 부릅니다.
tunnelbana
(T-bana)
지하철. 이건 모를래야 모를 수가 없는 단어. metro, subway라고 해도 사람들은 알아듣습니다. 영국식 영어인 underground는 잘 안 쓰더군요.
buss (복수형은 bussar)
짐작하다시피 bus의 뜻.
mot
toward. '~로'의 뜻.
till
until, to의 뜻을 모두 가집니다.
från
from과 같습니다.
eller
or. 또는.
och
and. 그리고. ('오흐'라고 읽을 수도 있지만 빨리 말할 땐 그냥 '오'라고 말합니다.)
maten
음식. food.
müsli (musli)
원래 ü는 스웨덴어 알파벳은 아닌데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독일어에는 있죠.) 시리얼류의 음식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dryck
음료수. drink.
mjölk
milk. '미여ㄹ크'를 아주 빨리 발음하면 비슷...할라나?;;;
bäst före
best before. 음식물 유통기한을 나타낼 때 씁니다.
är
영어의 be 동사에 해당합니다. 변화형은 아직 잘 모르겠네요;;
kan
영어의 can 조동사.
har
have.
att
영어의 at과 비슷하게 쓰이는 듯.
herrar
남자. (화장실 갈 때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가끔 그림 없이 글자로만 써둔 곳이 종종..-_-)
dammer
여자.
toalett
toilet. '토알렛뜨' 비슷하게 발음합니다.
ej / nej
no, not의 뜻.
utgång
exit. 출구를 나타내는 표지판에 쓰입니다.
upp
up. 영어와 비슷.
nedd
down.
skolan
school.
bibliotek(et)
library. 도서관을 가리킬 때 씁니다.
huset
house. 'blahblah huset'이라는 형식으로 어떤 용도의 건물인지 나타낼 때 주로 쓰입니다. 시청은 stadshuset이라고 씁니다.
kyrka
church. 성당·교회들을 뜻합니다.
röd
red. 빨강. (색깔 단어들은 학교 컴퓨터실 이름 덕분에 알게 되었습니다..-_-)
grön
green. 초록.
brun
brown. 갈색.
jag
I. 나. g는 사실상 묵음입니다.
du
you. 당신. 목적격은 dig.
vad
what
hur
how
~vägen
~ street. 주소를 나타낼 때 거리 단위로 사용하므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dubbel
double.
bäd
bed.
bra
good.
dag
day.
en
영어에서 1개라는 수량과 particular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a'와 같음.
banken
bank. 은행. SEB, Handelsbanken, Nordea 3가지가 주요 은행인 듯합니다.
kort(et)
card. 각종 신분증이나 카드 등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konto
account. 은행 계좌, 가입 계정 등을 뜻합니다.
kund
guest 정도의 뜻인듯.
nästa
next. 지하철 등에서 '다음 역은 xxx입니다'를 간단히 'Nästa xxx'라고 알려줍니다.
karta
map. 지도. 영어에서 cartographer라는 말이 있는데 저 'cart-'가 라틴어 어원이지요.

후, 일단 생각나는 대로 적어봤습니다. 스웨덴어가 영어에 비해 혀를 굴리는 r 발음(이탈리아어가 이게 가장 강한 듯합니다..)이나 모음의 높낮이 억양이 상당히 강합니다. 몇몇 자음도 된소리의 성향을 더 띕니다. k도 'ㄲ'와 비슷한 느낌으로 들릴 때가 종종 있습니다. 스웨덴어로 put에 해당하는 동사가 trycker인데 '트릭께르'와 같이 발음하더군요. (여기서 'ㄹ'은 모두 혀를 살짝 굴려주어야..-_-)

같은 라틴어권이라서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과 비슷한 어휘를 많이 가지고 있지만 같은 알파벳이더라도 각 언어마다 발음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어원을 가지고 철자가 약간씩 바뀌어 표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면 영어의 project는 스웨덴어로 projekt라고 쓰여지는 식이죠. 영어와 독일어를 섞어준 것과 약간 비슷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영어의 경우 사실 단어에 따라 같은 철자라도 발음이 달라지는 경우(예외 케이스)가 상당히 많은데, 유럽 언어들을 잘 살펴보면 철자 그대로 발음된다라는 느낌이 훨씬 강합니다. 우리가 영어에 워낙 익숙해져서 잘 모를 뿐이죠.

라틴어와 유럽어들의 관계는 사실 중국어와 동아시아어들의 관계와 비슷합니다. 라틴어 어휘들이 유럽어들에 흡수되어 지대한 영향을 끼쳤듯, 한국어·일본어에도 중국어 한자 어휘들이 많이 스며들어있고 또한 각 언어의 발음에 맞게 변화되었죠. 이런 사실들을 관찰하는 것도 나름 재미있습니다.;

중국 친구들이 좀 생겨서, 같은 한자 단어에 대한 중국어와 한국어의 발음 차이라든가, 한자 단위로 언어를 사용하는 중국애들이 어떻게 단어를 사용하는지와 같은 것도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기회가 되면 중국어를 제대로 공부해보고 싶군요.

아무튼 이상 뜬금없는 스웨덴어 강좌(?)였습니다.;;;

ps. 영국식 영어와 미국식 영어의 차이점 하나. 감기 걸렸을 때 I'm sick이라고 하면 미국식이고, I'm ill이라고 하면 영국식이라는군요. 영국식 영어에서 sick은 좀더 'mental'과 관련된 의미가 강하고, 미국에서는 그냥 다 sick으로 부르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ps2. 여기 와서 알게 된 한국인 입양아 친구 중에 스웨덴어는 잘 하는데 영어를 잘 못하는 친구가 하나 있습니다. 그 친구가 영어를 쓰는 걸 보면 '콩글리시'처럼 '스웽글리시(?)'가 되는데 그 과정에서 스웨덴어와 영어의 차이점을 거꾸로 유추하는 것도 재밌군요.;;;
필자
author image
Daybreaker(아침놀)입니다. 현재 KAIST 전산학과에 재학 중이며 전산 외에도 물리, 음악, 건축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Needlworks 내에서는 각종 홈페이지 제작 및 서버 관리 등과 함께 Textcube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 http://daybreaker.info

2008/03/01 23:03 2008/03/01 23:03